의술은 환자를 위해 발전하며
건강한 삶을 위한
우리의 노력은 계속됩니다
※일요일,공휴일 휴진 ※코로나19로 인해 일시적으로 단축진료시행합니다.
새로운 탈모 해결책 될까?... '스테비아'가 모발 재성장 촉진해
중국, 호주 공동연구팀 쥐를 이용한 소규모 전임상 단계 연구
'스테비오사이드', 미녹시딜과 병용 시 67.5% 발모 효과 확인
향후, 비침습적 탈모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 제시
제로 슈거 음료, 아이스크림 등 많은 식품에 사용되는 대체 감미료 스테비아가 탈모치료제의 효과를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호주 공동 연구팀은 스테비아 유래 천연 감미료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를 활용해 미녹시딜의 전달 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 스테비오사이드 병용 시 미녹시딜의 수용도(solubility)가 약 18배 증가해 47 mg/mL에 도달했으며, 탈모 모델 실험 쥐에서 35일 후 치료 부위의 약 67.5%가 털로 덮이는 발모 효과가 관찰되었다.
안드로겐성 탈모, 치료제 미녹시딜의 한계
전 세계적으로 남녀 모두에게서 흔히 발생하는 탈모증은 안드로겐성 탈모로, 주된 원인은 유전, 호르몬(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DHT), 노화다. 이 중 DHT는 모발의 성장 주기를 단축하고 새 모발의 성장을 방해해 탈모를 유발한다. 대표적인 탈모 치료제인 미녹시딜(일반의약품)은 혈관을 확장하고 모낭 주변 혈류를 개선해 모발 재성장을 촉진하지만 기존 제형은 물에 잘 녹지 않고 피부 침투율이 낮아 실제 모낭까지 도달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적어도 6개월 이상 꾸준히 사용해야 효과를 볼 수 있어 치료 효능의 한계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스테비오사이드 기반의 탈모 연구
이에 중국과 호주 공동 연구진은 천연 감미료인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를 기반으로 하는 용해성 마이크로니들(microneedle) 시스템을 개발해, 미녹시딜의 용해도와 피부 흡수율을 개선할 수 있는지를 탐구했다.
연구진은 스테비오사이드의 계면활성 특성을 활용해 미녹시딜의 물리화학적 용해도를 개선하는 기술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스테비오사이드가 첨가된 제형의 미녹시딜은 기존 대비 약 18배 높은 수용도(47 mg/mL)를 보여, 기존 제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또한, 스테비오사이드 기반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한 약물 전달 실험에서 누적 약물 방출률 85%, 피부 내 잔류율 18%를 기록해, 약물이 표피층을 넘어 모낭 부위까지 효과적으로 도달함을 확인하였다. 쥐를 대상으로 한 전임상 시험에서는, 미녹시딜-스테비오사이드 복합 마이크로니들을 35일간 적용한 결과, 치료 부위의 약 67.5%가 털로 덮이는(coverage) 발모 효과가 관찰되었다.
이는 미녹시딜 단독 제형 대비 현저히 높은 재생률로, 모낭의 성장기(anagen) 전환을 촉진한 결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연구진은 스테비오사이드가 미녹시딜의 용해도 및 피부 투과성 향상을 유도함으로써, 남성형 탈모(안드로겐성 탈모) 치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연구를 이끈 리펑 캉(Lifeng Kang) 교수는 "스테비오사이드는 천연 감미료로 안전성이 높을 뿐 아니라, 약물의 물리화학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생체친화적 전달 플랫폼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번 연구는 미녹시딜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동시에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 것"이라며 "향후 인간 대상 임상시험을 통해 이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해당 연구 결과 (Natural Sweetener Stevioside‐Based Dissolving Microneedles Solubilize Minoxidil for the Treatment of Androgenic Alopecia: 천연 감미료 성분인 스테비오사이드 기반 용해성 마이크로 니들이 안드로겐성 탈모 치료를 위해 미녹시딜을 용해한다)는 지난 10월 국제 학술지 『Advanced Healthcare Materials』에 게재됐다.